신문읽는 사람칸/인터뷰

갈매기의 꿈 - 생각 나눔 자료

지초 2014. 8. 31. 15:26

http://www.dadok365.com/web/html/WorkBook/WorkBook_View.asp?workbook_index=11&set_Menu2=01&set_Menu3=01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CBS TV) http://youtu.be/xmN51XWvDGc 놀이미디어교육센터 권장희소장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아이들을 구하라!!(-성보현 샘 추천강의)
요약본 http://blog.naver.com/seon131/220059236751





http://chanyi.tistory.com/428 (대본 및 mp3 다운로드 가능)



갈매기의 꿈, 전문 (영어, 번역본)
http://www.lovecare.co.kr/poem/Seagull.htm

경북도립 구미도서관 청소년 독서토론회 게시판

http://community.gumilib.go.kr/prg/bbs/view.asp?Info_url=cyber&a_num=17115323&b_num=821&b_lnum=&p_page=1&p_search=&p_keyword=

이영식의 독서지도 연구게시판

http://bibliotherapy.pe.kr/jboard/?p=detail&code=lecture2&id=69&page=9

작품해설

[핵심적 갈등 동기]: 욕구의 갈등


조나단 리빙스턴! 그는 여느 갈매들과는 행동과 생각하는 것이 다르다. 보통 갈매기들은 생존 자체가 삶의 목적이었다. 바다는 그들의 생존의 터전이다. 그렇지만 조나단에게는 먹는 것보다 멋지게 나는 것이 문제였다(p.14). 여기서 작가는 가장 낮은 단계의 욕구(생존)와 가장 이상적인 욕구(자아실현의 욕구)를 작품 전체의 구도에서 첨예하게 대조시킨다. 그것은 사물을 보는 하나의 패러다임에 가까운 것이다. 대부분의 갈매기들은 먹고사는 것이 최대의 과제이고 그이상의 생각을 거부한다. 뿐만 아니라 다르게 생각하는 갈매기들을 아예 공동체에서 추방시켜 버린다. 생존의 패러다임은 공동체적 인식이라는 점에서 개인적인 신념이나 세계관과 구별된다. 신념이나 세계관 역시 세상을 인식하는 하나의 준거틀인 점에서는 패러다임과 같지만 그것이 개인적이라는 점에서 패러다임과 구별된다. 패러다임은 공동체적으로 공유된 인식의 틀이라는 점에서 구성원들에게 강력한 구속력을 가진다. 갈매기 공동체는 밥의 패러다임에 종속된 상태이다. 반면 조나단은 갈매기로서의 본질을 비행(飛行)으로 인식하고 날기를 추구하는데 이는 자아실현(Self actualization) 패러다임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작품 전체적 갈등 구조의 핵심이다. 


[갈등구조]: 밥의 패러다임 대 날기 패러다임

먼저 조나단 자신의 내적 갈등이 있다. 그것은 위에서 분석했듯이 생존으로만 만족하지 못하는 자아실현의 욕구때문이다. 자아실현에 대한 강렬한 욕구는 조나단으로 하여금 여느 갈매기와 다른 인생이 목표를 가지게 했고 다르게 행동하게된다. 이러한 모습은 갈매기 공동체에서 매우 위험스러운 행동으로 간주되었으며 '갈매기 집단의 위엄과 전통에 먹칠 하는 것으로'(p.41) 비추어 졌다. 공동체와 심각한 갈등에 직면한다. 공동체와의 심화된 갈등은 조나단에게 '슬픔'이라는 정서를 불러일으킨다. 그것은 '그들이 눈 앞에 훤히 보이는 영광스로운 비행술을 믿으려 하지 않는, 마치 눈뜬 소경처럼 눈 앞에 훤히 보이는 그 영광을 애써 외면하려 하는 자신의 동료들 때문'(43)이었다. 

조나단은 공동체로부터 추방된다. 공동체로부터의 소외는 충격이 컸지만 결코 절망하지 않는다. 그러한 현실을 오히려 자아실현을 위한 동력으로 바꾼다. 여기에 작품의 주인공 조나단의 비범함이 있다. 보통 사람들은 공동체로부터 추방되는 것을 두려워 한다. 심지어 인생이 끝으로 보고 자포자기의 나락에 빠진다. 그러나 조나단은 소외와 형벌의 시공(時空)을 비행술을 연마하는 절호의 시간과 공간으로, 즉 자아실현을 위한 공간으로 재창조 한다. 이 부분이 "소외"의 문제를 다루는 독서치료적 접근에 활용될 수 있다. 요즈음 청소년들은 부모세대들보다 훨씬 풍요한 물질적인 환경을 누리고 있다. 그렇다고해서 정서적으로 더 행복한 것은 아니다. 사람의 행복감은 지극히 주관적인 것으로 물질이 풍요함이 행복감을 보장해 주지 못한다. 먹고사는 문제는 더이상 문제시 되지 않는 반면 소속에의 욕구좌절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드러난다. 조나단 시걸이 공동체로부터의 소외를 극복해 가는 과정은 좋은 모델이 될 수 있다.

공동체로부터 추방된 조나단이 혼자가 아니었음을 곧 알게된다. 하늘 저 너머의 또다른 공간에 '가장 중요한 삶의 목적을 추구하며 각자가 가장 하고 싶은 것을 추구하며 그것의 완벽에 도달하는 일, 즉 하늘을 나는 일에 전념하는 곳'(p.67)으로 조나단은 안내된다. 작가는 조나단의 스승 갈매기인 설리만의 입을 통하여 작품의 주제를 드러낸다. 중요한 대목이므로 길게 인용해 보자.

"내가 알고 있는 단 한 가지는, 그 수많은 갈매기들 중에서 자네는 군계일학의 존재라는 것이네. 우리는 대부분은 아주 오랜 시간에 걸쳐서 이 세계에 온 거라네. 예전에 몸담고 있던 세계를 떠나 그곳과 거의 다를 바가 없는 다른 세계로 옮겨가는 거야. 그러는 동안 개구리 올챙이 적 생각을 못하고 인생에서 목표했던 바를 소흘히 한 채 그저 순간순간을 위해 살아가게되지. 삶에서 먹고 사는 것보다 훨씬 더 중요한 것이 있다는 걸 알게 되기까지 우리가 얼마나 많은 삶들을 거쳐야 되는지 자네는 알고 있나? ........... 그리고 또다시 수백 번의 다른 삶을 겪은 다음에야 우리네 삶의 목적이 그 완전함을 발견하고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라는 걸 알게 되는 것이네."

조나단 시걸을 완전한 비행의 세계로 이끌어 준 스승을 만난 것은 바다와 대조되는 하늘이 아니라 그 너머에 있는 '고향'이라고 부르는 공간이었다. 그곳에는 조나단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매진하는 많은 다른 갈매기들이 있었고 특히 치앙은 온전한 날기의 경지에 도달한 탁월한 스승이었다. 

이처럼 작가는 생존의 패러다임에 묶여 있는 인물들과 갈매기의 본질인 "날기" 패러다임을 추구하는 인물들을 대비시킨다. 두 부류의 갈매기들은 바다와 고향으로 구별되는 공간을 거점으로 하고 있다. 두 공간은 연속성이 없는 다른 차원이 설정되어 있다. 한편 바다에 사는 갈매기 역시 완벽한 비행술을 터득한 조나단의 귀향으로 말미암아 분열이 일어난다. 점차 비행술을 배워보려고 도전하는 갈매기들의 숫자가 늘어나고 두 공동체 사이는 날카롭게 대조된다. 하지만 승리는 조나단 시걸의 공동체이다. 왜냐하면 그가 갈매기의 본질을 붙들고 있기 때문이다. 추방당한 공동체로 귀향은 조나단에게 또다른 자아의 실현이었다. 온전한 날기를 터득한 갈매기로서 사명을 깨달은 것이며 그 사명은 다른 갈매기들에게 날기의 본질을 가르치는 것이다. 그는 플레처라는 수제자를 비롯하여 많은 제자들을 가르치게 된다. 물론 저항도 만만치 않다. 그러나 그런 것은 예상된 것이며 더이상 문제가 되지 않는다



[주제]: 자아실현에의 용기 리차드 바크가 갈매기의 꿈을

 발표한 것은 1970도이다. 1970년도 미국의 학문적 분위기는 칼로저스등의 인본주의 심리학, 상담학등이 주류를 이루었다고 본다. 인본주의 심리학의 핵심은 "자아실현"(self-actialization)이다. 이를 심리학적 용어로 가장 잘 정리한 사람이 아브라함 매슬로우(1908-170) 이다. 그는 인간의 욕구를 낮은 단계에서 높은 단계까지 5단계로 구분하고 계통을 세웠다. 가장 낮은 단계는 생리적 욕구이고 가장 높은 단계는 자아실현의 욕구이다. 한 단계에서 다른 단계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낮은 단계의 욕구가 충분히 충족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매슬로우가 자아실현이라는 이념을 심리학적으로 표현했다면 리차드 바크는 문학적으로 탁월하게 표현했다고 본다. 삶에는 먹고사는 것 보다 더 나은 의미가 있다는 것이 문제의 제기이며 삶의 참된 목적은 외부에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존재안에 이미 있다. 그 본질을 실현하기 위해 살아가는 삶이야 말로 행복하고 의미있다는 것이다. 자아 실현의 경지에 도달한 자는 타인을 참으로 사랑할 준비가되어 있는 사람이다. 그런 사람은 존재자체, 삶 그 자체가 타인에게 영향력을 미치게 된다. 내적인 성취의 기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타인의 평가에 연연하지 않는다. 그는 본질을 획득했기에 시공에 구애를 받지 않는 참으로 자유로운 존재이다. 그러한 경지에 이르기까지 먼저 본래 자신에 대한 자각과 많은 저항이 있다는 것이다. 참된 자아를 실현하려는 자는 고난을 기꺼이 감수해야 한다. 그러나 그것은 충분히 도전해볼 만한 가치가 있는 일이다. 작가는 조다단의 입을 통해서 말한다.

"갈매기에게 비행이라는 것은 지극히 정당한 권리이며 자유는 갈매기의 본질 그 자체라는 것 그리고 자유를 가로막는 것이 있다면 그것이 의식이든 미신이든 아니면 또 어떤 형태의 제약이든 떨쳐 버려햐 한다는 것이었다"(p.p.128-129)




독후 감상문 쓰는 법, 독후 활동 워크북 hwp파일 


갈매기의 꿈.hwp

마인드맵 활용하여 독후 감상문 쓰기 http://www.mindomo.com/



어떤 독서 활동으로 책을 내 것으로 만들까?

주제별  권장 도서 목록 및 교사가 독서 교육을 해야 하는 이유, 어떻게 독서교육을 할 것인가?

http://soback.kornet.net/~norae/main.htm


독서모임


http://goo.gl/t2CrJ 백화현선생님의 가정독서모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