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당 수학http://user.chol.com/~badang25/bdf03.htm

 

[재미있는수학교실]빈틈없이 평면 덮기

"삼각·사각·육각형 기본 다양한 배열 가능”

길을 걷다 보면 보도블록을 새로 교체하는 광경을 자주 보게 된다. 모래와 블록을 까는 모습을 조금이라도 유심히 보았다면 블록의 모양이 모두 똑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똑같은 모양의 블록을 규칙적으로 배열하면 금방 길거리가 새단장을 한다. 건물의 바닥이나 화장실 안쪽 벽 등도 보도블록과 같이 타일 조각들이 규칙적이면서 빈틈없이, 서로 겹치지 않게 붙어 있다.
이처럼 주변을 조금만 주의 깊게 살펴보면 벽이나 바닥 등 평면을 빈틈없이, 서로 겹치지 않으면서 규칙적인 배열을 이루는 도형을 많이 볼 수 있다. 이렇게 ‘빈틈없고 겹치지 않게 평면을 덮는 것’을 수학에서는 테셀레이션이라 한다.
테셀레이션은 그 역사가 오래된 만큼 퀼트, 옷, 깔개, 가구의 타일, 건축물 등 세계 각 지역에서 찾아 볼 수 있다.
테셀레이션으로 가장 유명한 곳으로 단연 알함브라 궁전을 꼽을 수 있다. 이곳의 마루, 벽, 천장에 테셀레이션되어 있는 반복적인 문양들은 세계적인 디자이너들에게 많은 영감을 주었을 뿐 아니라 수많은 테셀레이션 작품을 남긴 에셔에게는 작품의 원천이자 일생을 바친 테마이기도 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전통 문양, 담장, 조각보 등에서 테셀레이션 작품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예) 19세기 옷보(그림1)
모든 도형으로 테셀레이션이 가능한 걸까. 정사각형이나 정삼각형 혹은 벌집처럼 정육각형으로 테셀레이션된 것은 흔히 볼 수 있다. 이 도형들은 한 꼭짓점에 모인 각의 합이 360도이다.
즉, 평면을 빈틈없이 덮으려면 일단 한 꼭짓점에 모인 각의 합이 360도가 돼야 한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틈이 벌이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육각형을 기본도형으로 하여 평면을 덮는 것이 테셀레이션의 기초가 된다.
정삼각형 한 내각의 크기는 60도이므로 한 꼭지점에 6개의 정삼각형이 모이도록 하면 되고, 마찬가지 원리로 정사각형 한 내각의 크기가 90도이므로 4개, 정육각형 한 내각의 크기는 120도이므로 6개가 한 꼭짓점에 모이도록 테셀레이션하면 된다. 주변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모양들이다. (그림2, 그림3)
정오각형이나 정팔각형, 원 등은 중간에 빈틈이 생기므로 그것만을 이용하여 테셀레이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좀 더 다양하고 화려한 배열을 원한다면 두 가지 이상의 정다각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정사각형과 정삼각형, 정팔각형과 정사각형, 정육각형과 정사각형과 정삼각형 등, 모든 꼭지점에서 모이는 정다각형의 배열이 같도록 평면을 덮는 방법은 8가지가 있다. (그림4)
기본도형이 꼭 정다각형일 필요는 없다. 직사각형, 평행사변형, 육각형 등 다양한 모양의 기본도형을 정해도 된다. 물론 이 기본도형만으로도 평면을 덮을 수 있어야 한다. (그림5)
기본도형만으로는 뭔가 부족하고 심심하다면 좀 더 재미있는 모양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마술사의 콧김 없이도 수학의 힘을 약간 빌리고 예술성과 창의성을 도형에 불어넣으면 육각형을 도마뱀으로, 삼각형을 기러기로, 평행사변형을 여우로도 변형시킬 수 있고 이것들로 평면을 덮을 수 있다. 간단한 대칭이동, 선대칭이동(반사), 회전이동 등을 이용하면 된다.
처음 기본도형에서 한 부분을 잘라내어 다른 쪽에 붙이는 방법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데, 잘라낸 부분을 어느 부분에 붙이느냐에 따라 평행이동, 회전이동, 반사, 미끄럼반사 등으로 나눌 수 있고 이것들을 적절히 조합하여 다양한 모양을 만들 수 있다. 다만 기본도형을 변형시킬 때 밖으로 튀어나온 부분과 안으로 들어간 부분의 모양이 꼭 맞아야 한다는 것을 명심하면 된다. 변형시킨 도형의 넓이는 처음 기본 도형의 넓이와 서로 같음은 물론이다. (그림6)
이런 간단한 과정을 서로 조합하거나 여러 번 반복하면 새침한 표정의 빨간 고양이, 밤바다를 헤엄치는 고래뿐 아니라 누구나 자신만의 작품을 만들 수 있다. 네덜란드의 에셔는 이러한 작업으로 수학자들에게 관심과 찬사를 받는 화가이다. 그의 손을 거치면 정삼각형이 꿈틀꿈틀 새가 되어 날아간다. (그림 7) 하지만 에셔는 ‘도형은 자연에서 발견한 것일 뿐 도형에 자연을 끼워 맞춘 것이 아니다’라고 말한다.
그의 말대로 자연은 이미 수학적인 도형을 그 원형으로 하고 있을지 모른다. 그것을 발견하고 표현하는 것은 수학적 눈으로 바라볼 줄 아는 우리들의 자유로운 사고와 창조성에 달린 것은 아닐까.

정미자 신림고 수학교사
Posted by 지초
:
BLOG main image
신문 읽는 사람
by 지초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586)
수학 갈고 닦기 (132)
수학의 알고리즘 탐색 (8)
나아가야할 길, 진로진학 (82)
아르키메데스반withJW (1)
방과후 개념유형반 (8)
시각화 (119)
신문읽는 사람칸 (154)
IT탐구영역 (37)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태그목록

글 보관함

달력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otal :
Today : Yesterday :